'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 :: 2025 한일가왕전 투표하기
반응형

대전 노후 옥내급수관 개량 및 옥상 물탱크 철거 비용 지원 안내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대전시는 맑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 노후 옥내급수관 개량 및 옥상 물탱크 철거 비용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의 목적은 노후 급수관 개량 및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노후 물탱크를 철거하고 직결급수로 전환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데에 있다고 합니다.



노후 옥내급수관 개량 사업은 20년 이상 지난 건축물 내부의 수도관을 개량할 경우 총공사비의 80% 범위에서 최대 120만 원까지, 옥상 물탱크 철거 지원 사업은 물탱크 1기당 최대 80만 원까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원한다고 합니다.

 

대전 노후 옥내급수관 개량 및 옥상 물탱크 철거 비용 지원을 희망하는 건물 소유자는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www.waterworks.daejeon.kr)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하여 관할 사업소로 신청하면 되며 담당 공무원의 현지 확인 및 승인 절차를 거쳐 공사 완료 후 지원금이 지급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대전상수도사업본부 동부사업소 관계자는 “노후 수도관 개량과 물탱크 철거 사업에 주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 앞으로도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반응형

울산 남구 청년면접수당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울산 남구는 지역 최초로 '저소득층 청년 취업 면접수당'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울산광역시 남구는 오는 2024년 3월부터 남구에 주소를 두고 있는 18세 이상 39세 이하 저소득층 청년 중 일자리를 얻기 위해 면접에 응시한 청년을 대상으로 면접수당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24년 나눔천사기금으로 지원되며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심의를 거쳐 1회 20만원씩 총 100명에게 지급한다고 합니다.

면접응시 여부 등의 검증과정을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하게 되며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서동욱 남구청장은 "저소득층 청년의 경제적 부담 완화 및 구직활동 지원을 위해 이번 사업을 구상하게 됐다"며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나눔천사기금'은 2016년부터 남구민의 자발적 참여로 모금된 독보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공적 지원을 받을 수 없는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진주시 노후 경유차 폐차 지원 및 노후 건설기계 폐차 지원 사업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경남 진주시는 2024년 2월 23일에 노후된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초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2024년 올해 22억 2600만원을 확보해 ‘노후경유차 및 건설기계 조기폐차 1차 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진주시 노후 경유차 폐차 지원 및 건설기계 폐차 지원대상 차량은 배출가스 4·5등급 경유차량 및 2009년 8월 31일 이전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해 제작된 도로용 3종 건설기계, 2004년 이전 제작된 지게차·굴착기이며 경유차 750대와 지게차·굴착기 50대 등이 대상입니다. 지난해와 달리 출고 당시 저감장치(DPF)가 부착된 배출가스 4등급 경유차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진주시 노후 경유차 폐차 지원 및 건설기계 폐차 지원 신청대상은 접수 마감일 기준 진주시에 6개월 이상 등록되어 있거나 대기관리권역에 포함되는 진주시외 지역에서 6개월 이상 등록돼 있어야 하며, 자동차 관능검사 결과 적합판정을 받은 차량으로 정상운행이 가능해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지원 금액은 차종 및 연식에 따라 보험개발원이 산정한 분기별 차량 기준가액에 지원율을 곱해 산정하며, 상한액 내에서 차등 지급한다고 합니다.

진주시 노후 경유차 폐차 지원 및 건설기계 폐차 지원 사업 신청은 오는 2024년 2월 26일부터 3월 18일까지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홈페이지(www.mecar.or.kr)에서 온라인 신청하거나 진주시 환경관리과 등기우편 및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진주시 관계자는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제한에 대비하고 도심 대기질 개선에 기여해 시민들이 맑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자동차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

개인정보 수집 이용동의서(조기폐차 신청 시)-개정 (한국자동차환경협회) 2019-05-31

www.mecar.or.kr

 

 

반응형

대학생별 스트레스 받을 때 대처하는 법 테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람은 스트레스받는 순간이 많아지는데 대학생별로 알아보는 스트레스받을 때 대처하는 나의 모습은 어떨지 알아볼 수 있는 테스트가 있어서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문제]
1. 신나게 겨울방학을 즐기고 있는 도중, 수강신청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당신의 반응은?
- 수강신청 날짜가 언제더라..? 일주일이나 남았는 데 나중에 시간표 짜지 뭐~
- 이번 학기는 전공 9학점, 교양 6학점 듣고 공강 시간에 알바하면 되겠다~

2. 시간표를 짜는데 동기가 "PPT를 AI가 읽어주고 자기 목소리로 수업하지 않는 교수님이 있대."라고 한다. 당신의 반응은?
-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야ㅋㅋ 그런 교수님이 어딨냐?
- 그 교수님이 알고 보니 진짜 AI 아님?

3. 오늘은 개강 첫날이다. 오랜만에 학교에 가는 당신이 학교에 가기 전 하는 생각은?
- 내일 OO이랑 오전 전공 수업 듣고 ㅁㅁ이랑 점심 먹고 오후 수업 들으러 가야게따~
- 오늘 첫 시간인데 백퍼 자기소개 할 것 같다.. 시키면 뭐 말하지.. 우리 집 강아지나 자랑할까..

4. 드디어 첫 수업! 동기들과 공강시간에 근처에서 돈까스를 먹기로 했는데 맙소사.. 문을 닫았다! 당신의 선택은?
- 야 그냥 옆에 떡볶이 가게 가자. 갑자기 떡볶이가 땡기는 것 같음.
- 모처럼 시간 냈는데 맛있는거 먹어야지! 내가 주변에 맛집 다시 검색해보겠음.

5. 점심을 먹고 오후 수업을 들으러 가는 중 친구가 "아 갑자기 배가 너무 아픈데? 왜 이러지?"라고 한다. 당신의 반응은?
- 엥 우리랑 점심 같이 먹었는데 왜 너만 배가 아프지? 아침에 다른 거 먹은 거 있어?
- 헐 어떡해ㅠㅠ 많이 아파? 가면서 약 좀 사갈까? 아니면 화장실 갔다올래?

6. 오후 전공수업에서는 팀플 조를 짰다. 그런데 우리 팀에 아는 사람이 한 명도 없다. 어쩌지?
- 누군가 말 꺼내겠지. 기다린다.
- 먼저 말을 꺼낸다. "여러분 우리 돌아가면서 자기소개해볼까요?"

7. 수업 끝나고 집 가는 길, 동기가 "나 알바 3개 뛰고 힘들게 모은 돈으로 이번에 폰 바꿨다? 색깔 짱 예쁘지!"라고 한다. 당신의 반응은?
- 와 얼마에 샀어? 근데 이거 핸드폰 무슨 기종이야? 이 색은 처음 보는데 진짜 이쁘당!
- 와 알바를 3개씩이나..? 너가 직접 모은 돈으로 사서 뿌듯하겠다ㅠㅠ 색깔도 너무 예뻐!

8. 앗.. 맞다.. 다음 주까지 급하게 제출해야 하는 과제가 생각난 당신은?
- 자료조사하고 PPT 만들어야 되는데 주말부터 시작하면 늦으려나.. 나중에 다시 생각해보지 뭐.
- 다음 주는 바쁘니 미리 해놔야 마음이 편할 듯.. 토요일에 자료조사하고 일요일에 PPT 만들면 되겠다~

9. 힘들었던 한 주가 지나고 내일은 기다리던 주말! 친구들에게 같이 영화 보러 가자고 연락이 왔다. 당신의 반응은?
- 가고 싶지만 주말에 또 나갈 준비할 생각하니 벌써부터 지치는걸ㅠㅠ 난 다음에 낄게.
- 내가 예전부터 보고 싶었던 영화잖아! 이건 당연히 가줘야지.

10. 친구와 카페에 갔는데 자리가 없다. 앗! 그런데 두 명이 앉는 자리에 한 명이 앉아 있는 것을 발견했다. 당신의 선택은?
- 우리 그냥 다른 카페 가서 자리 찾아보자.. 주변에 카페 많네~
- 저희가 두 자리가 필요한데 혹시 저쪽의 한 자리로 자리를 옮겨주실 수 있으세요!?

11. 재밌게 이야기하던 도중 친구가 과제 제출일을 착각해서 과제를 제출하지 못했다고 한다. 당신이 드는 생각은?
- 일정을 제대로 확인 안 한 니 잘못이지. 우짜겠어.
- 그래도 나름 열심히 했을 텐데 제출 못해서 속상하겠다..ㅠ

12. 시험이 벌써 일주일밖에 안 남았다. 노느라 공부를 안 한 당신이 문득 든 생각은?
- 아 공부하기 싫다. 시험범위 절반만 줄어들면 A+ 가능일 것 같은데...ㅋ
- 아 공부하기 싫다. 투명인간으로 변해서 시험문제만 쏙 빼오면 좋을텐데…

 

본인에 대한 테스트 결과는 직접 확인해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대학생별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

'대학생별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은 YMH컨소시움에서 청년멘탈헬스케어와 관련하여 기획, 제작된 테스트입니다. 스트레스 받을 때 나는 어떤 캐릭터와 비슷할까요?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성격

www.metavv.com

 

반응형

2024년 전남 청년 문화복지카드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전라남도는 도내 거주하는 청년의 문화생활 향유 및 자기계발을 지원하기 위해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 대상자를 다음과 같이 모집하니 많은 신청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1.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이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공연관람, 학원수강, 도서구입 등을 위한 문화복지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일정 지원조건(거주, 출생연도 등)을 충족할 경우 문화복지비 연 25만원 지원

_

2. 신청대상
✅신청자격 : 도내 2년* 이상 거주 청년
① (거주) 2022. 3. 1. 이전부터 도내에 주소를 두고 계속 거주(2년 이상)
② (연령) 1996~2005년도 출생자
※① ②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하며, 소득기준 없음

✅제외대상

① 복지포인트(카드)를 지급받는 공공기관 근무자• 공공기관 범위
- 공무원, 교사, 청원경찰, 공무직, 기간제 근로자 등

② 학교 밖 청소년 교육수당을 당해연도 1회 이상 지급받았거나, 지급받을 자
- 학교 밖 청소년 등록 후 센터 내 프로그램 월 6회 이상 참여자 (19~24세, 월 20만원 지원)

③ 전라남도 여성농업인 바우처 대상자(여성농업인 문화복지생활 지원, 연 20만원)

④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자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문화예술 지원, 연 13만원)
- 단, 청년문화복지카드 25만원 중 문화누리비 제외하고 차액(12만 원) 지급

✅환수 사유
• 제외대상자(복지포인트를 지급받는 공공기관 근무자, 학교 밖 청소년 교육수당 대상자,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 대상자) 임에도 불구하고 지원금을 받은 경우

•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자임에도 문화복지비 전액을 지원받은 경우

• 기타 사회 통념상 허위 기타 부정한 의도 및 방법으로 지원금을 지급받고자 한 경우

• 중고거래 등을 통한 문화복지카드 현금화를 시도한 경우

• 카드 수령 후 제3자에게 양도한 경우

• 대가를 수령하고 제3자를 위해 구매대행을 한 경우

• 비허용 상품 구매 후 허용상품 구매로 위장한 경우

_

3. 신청기간 및 제출서류
✅신청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 2024. 3. 1. ~ 3. 31.(1개월)

• 신청방법
- (방문신청) 신청자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시•군 읍•면•동 주민센터 평일 근무시간(09:00~18:00) 방문
* 본인 방문이 어려운 경우 가족(부모, 배우자, 형제)에 한하여 대리 접수 가능하며 위임장 제출

- (온라인신청) 시 거주자는 광주은행 누리집, 군 거주자는 농협카드 누리집
* 카드 신청기간에만 카드 신청 팝업창이 활성화되며, 본인인증 절차로 인해 본인만 신청 가능

✅제출서류
1 신청서 1부
② 개인정보동의서 1부
③ 주민등록초본 1부
④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1부

※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③ ④ 제출 생략

_

4. 카드발급 및 사용
✅카드발급 : 문화복지카드 신청•선정 후 별도 체크카드 발급 필요
▷광주•농협은행 또는 각 시• 군에서는 지원대상자에게 체크카드 발급 안내 문자 발송
- 해당 은행(시 지역:광주은행, 군 지역:농협은행) 계좌가 있는 경우 카드만 발급 가능하며, 계좌가 없는 경우 계좌개설 후 카드발급으로 자동 안내
* 온라인상 카드 신청이 어려운 경우 직접 은행 방문
- (시 지역) 광주은행 (군 지역) 농협은행 중앙회 및 지역농협

▷카드 발급 신청서 제출 후 1주 내 카드 우편 송부
- 카드 사용 : 본인 수령 시 즉시 사용, 본인 외 수령 시 사용등록 후 사용 가능

▷카드 분실•훼손 시 은행에서 재발급 가능

▷이전 연도 카드 기 발급자는 발급 카드로 바우처 자동 충전

✅지원금액 및 카드사용
• 지원금액 : 1인당 연 25만원 지원

• 사용처 : 문화• 공연 관람, 학원수강, 도서구입 등 전남 도내에서 사용
- 문화활동 및 자기계발을 위한 업종에서만 사용 가능, 그 외 업종은 사용 제한
- 온라인 및 광주광역시 등 타 시도 사용 불가

• 사용기간 : 카드발급일 ~ 연말까지

• 현금 교환 및 기한 내 미사용 시 이월 불가

• 사용방법 : 사용처에 한하여 사용기간 동안 카드 금액 소진 시까지 이용

_

5. 사업추진 일정

✅자격요건 확인
• 접수서류를 기초로 신청자격 충족 여부 및 신청 제외대상 여부 확인

✅대상자 선정
• 선정방법 : 자격요건에 부합하는 경우 시•군별 선정
• 통보방법 : 시•군별 개별 통보

✅카드 발급
• 카드 우편 송부, 수령 후 카드 사용 가능

_

6. 유의사항
• 모든 접수 서류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 기재사항 착오 및 누락, 허위 기재, 연락불능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은 신청자의 책임으로 합니다.

• 사업신청 후 카드 발급이 진행 동안 개명, 주민번호 변경, 휴대전화 번호 변경 등 개인정보에 대한 변경이 있는 경우 대상자는 거주 시군에 직접 알려주어야 하며, 미통보로 인한 불이익은 개인에게 귀책사유가 있습니다.

• 본 공고사항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되는 사항은 재공고 또는 개별 통보합니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O&A'참조하여 주시고, 그 외의 경우는 신청자의 주소지 관할 시•군 사업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사업신청 ~ 자격요건 확인 기간(신청한 달의 다음 달까지) 중 타 시도로 전출한 경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 시군 예산 확보 형편에 따라 지원이 지연되거나, 사업대상자가 축소될 수 있습니다.

 

 

_

■전남 청년 문화복지카드 사용처

 

✔️문화여가
• 공연 관람: 연극, 영화, 공연
• 전시: 미술관, 박물관, 비엔날레, 화랑
• 기타: 사진관 등
• 체육: (체육시설) 헬스, 볼링, 수영, 요가, 필라테스, 에어로빅, 복싱, 탁구, 당구, 사격, 골프, 롤러스케이트, 승마, 스케 이트, 스키, 태권도, 합기도, 유도, 스포츠 댄스, 방송댄스 / 체육용품, 스포츠의류(일반 의류 불가)

✔️자기계발
• 강좌: 학원수강 등 자기계발 강좌
• 도서: 서점, 중고서점, 신문/잡지 구독
• 음악: 음반, 악기(악기소매점, 악기부속품) 구입

✔️관광
숙박: 호텔, 리조트, 콘도, 민박, 게스트하우스, 휴양림, 캠핑장, 야영장
• 테마파크: 놀이공원, 워터파크, 아쿠아리움
• 체험관광: 템플스테이, 레일바이크 짚라인 등
• 기타: 렌트카

*이용불가
• 나주시: 국립나주숲체원
• 무안군: 회산백련지, 밀리터리테마파크, 전통생활문화테마파크, 노을길야영장, 무안종합스포츠파크, 황토갯벌랜드

※ 온라인(인터넷, 앱 등), 키오스크 결제 불가, 전남 도내(오프라인)에서만 사용 가능

※ 사용 업종이 제대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 카드 사용이 불가할 수 있음


_

본 설명은 전라남도 홈페이지 출처를 통해 작성되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 Q&A’와 각 지자체 문의처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목포시 청년인구과 인구정책팀 061-270-8505
여수시 청년일자리과 인구정책팀 061-659-3426
순천시 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061-749-4201
나주시 기획예산실 인구청년정책팀 061-339-7893
광양시 청년일자리과 청년정책팀 061-797-1994
담양군 참여소통실 인구청년정책팀 061-380-3222
곡성군 인구정책과 인구정책팀 061-360-2913
구례군 경제활력과 인구정책팀 061-780-2619
고흥군 인구정책실 청년희망팀 061-830-5833
보성군 인구정책과 인구청년활력팀 061-850-5975
화순군 인구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061-379-3632
장흥군 인구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061-860-6257
강진군 인구정책과 인구청년팀 061-430-3062
해남군 미래공동체과 청년팀 061-530-5063
영암군 인구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061-470-2553
무안군 미래성장과 청년지원팀 061-450-5735
함평군 인구경제과 인구정책팀 061-320-1725
영광군 인구교육정책과 청년지원팀 061-350-5196
장성군 일자리경제실 인구대응정책팀 061-390-7084
완도군 인구일자리정책실 인구정책팀 061-550-5277
진도군 인구정책실 인구청년팀 061-540-3818
신안군 귀촌지원과 인구정책팀 061-240-8229

반응형

소상공인 새출발기금 신청방법과 대상자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새출발기금이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로 대출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2024년 2월부터 더욱 많은 자영업자·소상공인 분들이 새출발기금을 이용하실 수 있도록 지원대상이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온전한 회복과 도약을 지원하는 '새출발기금'에 대한 자세한 안내드리겠습니다.

지원대상
새출발기금은 아래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엔 코로나19 직접 피해 차주가 대상이었지만 일정기간에 사업을 영위한 차주로 대상을 확대했다고 합니다.

[지원 대상]
① 2020년 4월 ~ 2023년 11월 중 사업을 영위한
②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 소상공인
③ 부실 차주 또는 부실우려 차주

✅부실 판단 기준

부실 차주
- 1개 이상의 대출에서 3개월 이상 장기연체로 부실이 발생한 차주


부실우려 차주
- 폐업자, 6개월 이상 휴업자 (폐업 및 휴업신고자)

- 만기연장·상황유예 이용차주​로서 금융회사의 추가 만기연장이 어려운 차주 또는 ​이자유예 이용 중인 차주
- 국세·지방세 관세 체납으로 신용정보관리대상에 등재된 차주​
- 신용평점 하위차주 또는 고의성 없이 상당기간 연체가 발생한 차주​

※ 지원 제외 대상
중소벤처기업부 손실보전금 지원대상 업종이 아닌 경우(부동산 임대업, 사행성 오락기구 제조업, 법무·회계·세무 등 전문직종, 금융업 등)

[대상 대출]
✔ 대상 대출
- 채무조정 프로그램 협약 금융회사가 보유한 해당 차주에 대한 모든 대출
* 법인사업자의 경우, 대표자 가계대출 제외

✔ 조정한도
- 최대 15억 원 (담보 10억 원 + 무담보 5억 원)

✔ 신청제한
- 차주의 고의적·반복적 채무조정 신청사례를 제한하기 위해 새출발기금 신청은 1회만 가능
* 단, 부실우려차주가 새출발기금 이용과정에서 90일 이상 채무조정안을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 부실차주로 이전하여 조정하는 것은 가능

채무조정 대상 대출 기관 확인 사이트 바로가기 (https://www.newstartfund.or.kr/Board/View.do?idx=3&pageIndex=1)

※ 채무조정 제외 대출
- 코로나 피해와 무관하거나 매입요건상 하자 등으로 채무조정이 어려운 경우
⑴ 대상차주의 새출발기금에 대한 지원 신청일로부터 6개월 내에 발생한 신규대출(다만, 부실차주의 경우 해당 대출이 동 차주에 대한 전체 원화채권 총액의 30% 미만인 경우에는 포함)
⑵ 부동산임대·매매업 관련 대출
⑶ 주택담보 가계대출(단, 주택 취득 시점으로부터 3개월 이상 경과하여 저당권 또는 근저당권이 설정된 경우는 제외), 전세보증대출, MCI(MCG) 및 MI 관련 대출
⑷ 렌탈, 대상차주의 사업 운영에 필요한 상용차 할부를 제외한 할부금융, 리스 등
⑸ 할인어음, 무역어음, SPC에 대한 대출, 예금담보대출, 보험약관대출, 주식매입자금대출 등 개인 자산형성 목적의 대출
⑹ 처분에 제한이 있는 대출
⑺ 대상채무자가 회생절차 또는 파산절차 진행 중인 대출
⑻ 본 협약에 가입한 보증기관 외의 기관이 보증을 제공한 대출
⑼ 신용회복지원협약에 따른 개인채무조정 중인 대출
⑽ 보증기관이 입찰보증, 계약이행보증, 선급금반환보증, 하자보증 등 대상차주의 특정한 이행을 보증(단순한 금전소비대차계약의 이행보증은 제외함)하고 대상차주의 의무 불이행에 따라 보증의무를 이행하여 대상차주에 대하여 보유하게 된 구상채권
⑾ 소송(단, 대상채권의 존부나 금액을 다투는 소송이 아닌, 시효연장을 위한 소송 또는 가압류·가처분 등 대상채권의 권리보전을 위한 법적 조치를 진행 중인 경우는 제외함)이 진행 중인 대출
⑿ 채무자에 대한 권리행사가 불가능한 대출
⒀ 새출발기금 프로그램 발표일(2022.8.29.) 이후 발생한 지역신용보증재단이 취급하는 중·저신용자 특례보증 및 브릿지 보증과 동 보증을 제공한 대출
⒁ 그 밖에 새출발기금 주식회사 또는 신용회복위원회가 협의하여 대상채권에서 제외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대출

지원내용
새출발기금은 개인사업자·소상공인 분들의 채무조정을 위해 대출의 원금이나 금리를 감면해 주고  채무자에 대한 추심을 중단하도록 조치하는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채무조정 지원 내용


_

새출발기금 신청방법
새출발기금 누리집과 지사 방문을 통해 채무조정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출 서류를 제대로 구비하지 않을 경우 서류 보완 기간 2개월 이후 신청이 취소될 수 있으니 제출서류를 꼼꼼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신청 절차]

✔️새출발기금 누리집(https://www.newstartfund.or.kr)을 통한 온라인 신청
- 법인 사업자의 경우, ‘소상공인 확인서’ 발급 후 진행(제출 불필요)

✔️한국자산관리공사 지역본부·지사,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을 통한 신청
* 긴급고용안정지원대상자(특수고용근로종사자, 프리랜서)의 경우, 방문신청만 가능

한국자산관리공사 지역본부 및 지사 찾기 바로가기

 

지역본부 및 지사 | 오시는길 | 조직소개 | 공사소개 | 홈페이지

시내버스 (평택경찰서사거리 정류장 하차)1-1, 2, 2-2, 3, 3-1, 3-2, 3-3, 5, 5-1, 6, 6-1, 7, 7-3, 7-4, 7-5, 7-6, 7-7, 8, 8-2, 9, 9-1, 9-2, 15, 15-1, 15-2, 15-3, 15-4, 16, 17, 20, 21, 22, 27, 29, 35, 36, 50, 50-9, 57, 57-1, 57-2, 80, 80-1, 91,

www.kamco.or.kr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찾기 바로가기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제출서류


※ 유의사항
- 신청 시 첨부해야 하는 서류가 미 제출될 경우, 서류보완기간(2개월) 종료 후 새출발기금 신청이 취소될 수 있음
- 새출발기금 신청 후 신청일 익월 15일까지 신청취소 가능
- 고의·반복적인 채무조정 신청 제한을 위해 신청취소일로부터 3개월(90일) 간 재신청 불가

반응형

인천광역시는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천 청년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자격증·어학시험 등 시험 응시료를 1인당 연 1회, 최대 10만 원까지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규모는 인천시 미취업 청년 4,155명이며 신청 기간은 2024년 2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입니다. 2023년 청년들의 요구를 반영해 시작된 이 사업은, 전국 17개 시·도 중 인천시가 최초로 추진한 사업입니다.

인천시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 신청 지원대상자는 신청일 현재 주민등록상 인천시에 거주하는 18세~39세(1984년~2006년 출생) 청년 중, 시험 응시일 현재 미취업 청년입니다.

지원대상 시험은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11월 30일까지 응시한 600여 종의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전문자격증 및 국가공인민간자격증 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및 각종 어학시험 등이다.

인천시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 신청방법은 인천청년포털(https://youth.incheon.go.kr/)에서 증빙서류와 결제영수증 등을 첨부해 응시료를 신청하면 됩니다. 군·구청에서는 신청서류를 월별로 접수하고 검토한 후, 그다음 달 20일에 지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특히 2024년 올해부터는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지원하므로, 시험 응시일 현재 미취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와 사업자등록 사실여부 확인용 사실증명 등 미취업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자격증 응시료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규석 인천시 청년정책담당관은 “미취업 청년들의 직업역량 개발과 자기개발에 좋은 동기 부여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인천시 청년들이 더 큰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반응형

전라남도 청년부부 결혼축하금 신청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전라남도는 청년의 결혼 초기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총 100억 원 규모의 청년부부 결혼축하금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청년부부 결혼축하금 지원은 전남도가 2021년 전국 광역시·도 중 최초로 시행한 사업으로 49세 이하 부부가 대상입니다.

혼인신고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일 직전까지 부부 모두 전남에 6개월 이상 계속 주소를 두고 거주해야 하는데 다만 부부 중 누구라도 이전에 청년부부 결혼축하금을 수령한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

전남도는 2024년 올해부터 신청 기간을 혼인신고일 기준으로 1년 6개월까지로 늘렸으며 기존 1년이었던 신청 기간이 지나 결혼축하금을 받지 못한 사례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결혼축하금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신청한 달의 다음 달 10일 축하금 2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남도와 시군 대표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김명신 전남도 인구청년이민국장은 “청년부부 결혼축하금은 전국 광역시·도 중에서 전남이 최초로 시행해 그동안 8천800여 부부가 혜택을 받았다”며 “앞으로도 많은 청년부부가 혜택을 받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시군과 협력해 제도 개선도 함으로써 청년이 전남에서 결혼하고 미래를 만들도록 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참고로 전남도는 청년부부 결혼축하금 외에도 청년 취업자 주거비 확대, 청년 희망디딤돌 통장 운영, 꿈사다리 공부방 운영 등 청년층 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